본문 바로가기

건강9

우슬 우슬(牛膝 Achyranthis Radix)은 활혈거어약(活血祛瘀藥)이다. 기원 비름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우슬(회우슬) Achyrantes bidentata Bl.과 마우슬 Cyathula capitata (Wall.) Miq. 첨우슬(천우슬) C. officinalis Kuan. 쇠무릎(토우슬) Achyranthes Japonica Nakai의 근을 건조한 것으로, 겨울철에 줄기와 잎이 마른 다음에 채취하여 진흙을 제거하고 볕에 쬐어 말린다. 성상 가늘고 긴 원주형의 원뿌리 또는 곁뿌리가 달린 원뿌리이며 약간의 뿌리줄기가 붙어있든가 또는 제거되어 있다. 원뿌리는 대개 막대모양이거나 또는 약간 구부러졌고 길이는 15~90cm이며 지름 0.4~1cm이다. 표면은 회황색 또는 엷은 갈색으로 많은 세로주름.. 2019. 9. 24.
한약 달이는 법 약을 달이는 용기로는 돌이나 곱돌(납석)로 된 것이나 질그릇, 유리 제품 등을 사용하면 약효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철로 된 것은 되도록 피하는 것이 좋다. 약을 달일 때 사용하는 물은 자연수나 수돗물이 좋은데, 알칼리성 물질이 섞이지 않은 깨끗한 물 이어야 한다. 약을 달일 때에는 약한 불에서 서서히 달이고, 달이는 시간은 1~2시간이면 충분히 유효 성분이 추출되며, 4시간 이상 달이면 대량의 성분 파괴 현상이 나타난다. 대개 급성 염증성 질환 약은 물에 1시간 이상 냉침하였다가 달이면 효력을 높일 수 있다. 또 약을 달일 때에 휘발성 정유가 다량 함유되어 있는 약물, 즉 박하, 형개, 소엽, 사인, 익지인 등은 오래 달이면 정유 성분이 휘발되어 효력을 유지하기 어렵다. 그리고 꽃이나 잎을 사용하는.. 2019. 9. 23.
한약 복용법 약을 복용할 때는 발열, 설사, 복통이 있을 때나 허약 체질 등에는 따뜻하게 해서 복용하지만, 부자(附子)가 들어 있는 약이나 구토 등의 증상에는 차게 하여 약리 활성을 낮추어 복용한다. 신(腎), 방광(謗胱) 등의 질환에는 식사 30분 전에 복용하고, 위장과 간, 심, 폐의 질환에는 식후 1시간에 복용한다. 또 안면과 머리, 사지, 피부 등의 질환에는 식간에 복용하고, 정신 신경 질환에는 식후와 취침 전에 복용한다. 약은 일반적으로 1일 2~3회 복용한다. 어린아이는 1회 분량을 1일 3회로 나누어서 복용하는 것이 통례이며, 발열과 염증이 심할 때는 밤낮을 불문하고 수시로 복용한다. 대개 질환이 횡격막 이상에 있을 때에는 식후에 복용하는 것이 통례이며, 발열과 염증이 심할 때에는 밤낮을 불문하고 수시로.. 2019. 9. 23.
체중 조절 우리 몸은 언제나 항상성을 유지하고 있지만 지속적으로 에너지 공급이 많거나 부족하게 되면 영양실조나 비만과 같은 질병에 걸리게 된다. 비만은 의학적으로 '비정상적인 체지방의 증가로 인해 대사장애가 유발한 상태'이다. 비만은 질환으로 인식되고 있다. 고혈압, 제2형 당뇨병, 지방간, 고지혈증, 퇴행성관절염, 일부 암 등 다양한 만성 퇴행성 질환들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치료가 필요하다. 비만은 에너지 섭취가 에너지 소비보다 많아질 때 잉여 에너지가 몸 안에 지방의 형태로 저장되면서 생긴다. 따라서 비만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섭취를 줄이거나 또는 에너지 소비를 늘려야 한다. 에너지 섭취를 줄이는 방법에는 장내에서의 지방 흡수를 저해하는 방법과 식욕을 억제하여 먹는 양을 조절하는 방법, 소화를 .. 2019. 8. 30.
2019 영양고추 H.O.T 페스티벌 영양고추 축제에 다녀왔다. 올해는 2019 영양고추 H.O.T 페스티벌이 8월 27일부터 8월 29일까지 서울시청 앞 서울광장에서 열린다. 엄마는 영양고추를 사기 위해 영양고추 축제를 기다린다. 오후 한 시가 넘어서 서울광장에 도착했다. 우리는 축제를 돌아보고 태양초 열다섯 근을 샀다. 고추와 더불어 사과, 오미자, 아로니아, 버섯 등도 팔고 있었다. 영양고추를 넣어 만든 김치를 홍보하는 곳에서는 작은 주먹밥과 두부를 곁들인 김치를 나누어주고 있었다. 맛이 좋았다. 공연 무대에서는 농악이 펼쳐지고 있었다. 축제 거리에서는 사물놀이패가 거리를 돌며 흥을 돋웠다. 축제장소 한편에는 고추와 고추화분으로 꾸며진 전시공간도 마련되어 있었다. 축제를 보러 온 외국인 관광객들도 사진을 찍으며 즐거워했다. 전시공간 주.. 2019. 8. 28.
곽향 우리 집 옥상의 화분에는 곽향이 심어져 있다. 곽향은 특유의 향을 가진 허브의 일종이다. 꽃은 보라색이고 여름에 활짝 핀다. 곽향의 다른 이름은 배초향이라고도 하고 보통 방아잎으로 잘 알려져 있다. 다년생으로 다음 해에도 뿌리에서 잎이 나며 씨앗으로도 성장한다. 곽향의 잎은 추어탕을 끓일 때 비린내 제거를 위해 쓴다. 또 부침개를 할 때 곽향의 잎을 넣어 향을 좋게 하고 이질, 설사를 예방하는 차원에서 사용한다. 곽향 잎을 따서 된장국에 넣어 먹어도 맛있다. 독특한 향이 입맛을 돋우게 한다. 곽향의 꽃이나 잎을 차로 끓여마시기도 한다. 나는 감기에 걸렸을 때 곽향 차를 마시곤 한다. 곽향은 한약재로 사용한다. 본초학에서는 곽향(藿香)을 방향화습약(芳香化濕藥)으로 분류한다. 향기로 비위의 습기를 치료하는 .. 2019. 8. 25.